소비자뉴스Home >  소비자뉴스 >  소비자권리
-
병원 운영 산후조리원에서 사고나면 의료사고인가요?
산후조리원은 모자보건법에 의해 설립되어 운영되는 서비스업으로, 산후조리원에서의 행위는 의료 행위가 아니며 관련 사고 또한 의료사고가 아니다. 그래서 의료중재원에서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없다.
-
출산 후, 산후조리원에 아기가 입실하지 못하면 할인율은?
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아기가 입실하지 않았을 때의 규정은 별도로 없다. 소비자는 산후조리원과의 자율적 거래에 의해서 합의가 되는 항목이다. 법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다.
-
경기도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아기 얼굴에 큰 멍이 드는 사건이 발생
산후조리원 CCTV 설치 의무화 여론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. 산후조리원 CCTV가 신생아의 안전을 확인하고, 직원의 업무 긴장감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믿음 때문이다.
-
왜 산후조리원 기간은 2주가 아닌 만 13일까?
산후조리원 연합뉴스로 제기되는 소비자 불만 중에는 산후조리원의 서비스 기간에 대한 질문이 있다. 산후조리원을 예약할 때는 2주라고 해서 왔는데, 막상 입실하고 나니 13박이라는 것이다.
-
산후조리원에서 가입한 책임보험은 어떤 사고를 보장할까?
고객이 산후조리원 내에서 사고를 당할 시, 산후조리원이 가입한 보험사가 병원비 등을 물어주게 된다. 그렇다면 산후조리원의 보험은 어떤 사고를 담보해주는 것일까?
-
(소비자용) 산후조리원 환불 규정과 환불 계산법 알아보기
산후조리원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 소비자보호법 080229 제13호에 의거하여 환불 규정을 지켜야 한다. 산후조리원 성공 창업 내용을 근거로 환불 계산법을 알아보았다.
-
산후조리원을 예약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
만일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시기라면? 그것도 신종 코로나나 메르스, 사스 때처럼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도는 시기라면? 그래도 산후조리원 답사를 가야 할까? 가급적 유선으로 상담을 한 후, 예약을 하는 방법을 권한다.
-
소비자 권리 "계약 시 반드시 약관을 요구하세요"
상담받을 때 충분히 알아들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잊기 마련이므로 '약관'을 꼭 요구하도록 하자. 산후조리원 측도 추후 소비자와 다툼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약관 교부를 의무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.
-
산후조리원에 귀중품이나 현금은 이렇게 보관하세요
산모들이 산후조리원에 올 때 귀중품을 가지고 오는 경우가 꽤 있다. 왜냐하면 2주 정도를 산후조리원에 기거하다 보니 집에 있는 패물을 가지고 오는 것이다.
-
계약 당시 잔금을 미리 치르는 방식은 조심해야
소비자에게 잔금을 미리 받는 이유는 대부분 당장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쓰는 방법. 몇 개월 앞서 잔금을 미리 치루는 것은 분명 주의해야 할 방식